제목의 중요성을 느끼고 있나요?
지난번에 클릭을 부르는 제목을 지을 수 있는 4가지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1. 숫자, 숫자 그리고 숫자
2. 아니 이렇게 쉽다고?
3. 짧게 쓰자
4. 만약 질문을 한다면?
한번만 더 강조하겠습니다. 좋은 제목은 중요합니다.
양자역학에서는 이런말이 있습니다.
“관찰되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다”
내 시간과 노력이 들어간 콘텐츠는 반드시 눈에 띄어야 합니다.
더 나아가 여러분이라는 브랜드 역시 남에게 관찰되어야 합니다.
그 모든 것의 시작은 역시 좋은 제목입니다.
오늘 뉴스레터에서 남은 4가지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클릭을 부르는 제목을 짓는 8가지 습관 Part2
지난 자료에 이어 클릭을 부르는 제목을 짓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예시를 잘 보고, 여러분만의 예시도 만들어보세요.
5. 당신이 경험한 것은 무엇인가요?
어떤 사람이 100일 동안 매일 턱걸이를 20개를 했다고 합니다.
혹은 완전 비전공자가 코딩수업을 6개월 들었다고 합니다.
소개팅만 100번 한 사람이 소개팅하며 느낀 점을 말해준다고 합니다.
어떠신가요? 그 결과나 이야기가 궁금하지 않나요?
이렇게 생소한 경험에 사람들은 강하게 반응합니다.
특히 나와 같은 처지에 사람이 한 경험은 더 없이 흥미가 생기게 됩니다.
여러분들은 어떤 경험을 하셨나요?
그걸 제목으로 풀어보세요. 클릭하지 않고는 못 배길겁니다.
경험을 활용한 예시는 이렇습니다.
현재 이사를 준비하고 있기에 4번째 제목은 진짜 저도 클릭해보고 싶네요.
여러분들은 어떤 경험을 쌓고 있나요?
그 경험을 제목에 녹여보세요.
6. 섞고, 비교하세요
우리는 본능적으로 비교합니다.
더 나은 것을 얻고 싶어하는 욕구가 있기 때문이죠.
우리가 어렸을 때, 사자가 쎈지 호랑이가 쎈지 얘기했던 것 처럼
무엇이 더 나은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등을 비교하는 콘텐츠는 항상 인기가 있습니다.
상반되거나 혹은 유사하거나 하는 두 요소를 가져와서 섞거나 비교해보세요.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가 대박이 난 것은 비단 글을 잘 써서 뿐만은 아닐 겁니다.
섞음, 비교를 활용한 예시는 이렇습니다.
이렇게 비교 대상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세요.
사람들이 더 강한 흥미를 보일 겁니다.
7. 긍정보다는 부정
사장님이 미쳤어요!
라는 문구가 한때 핸드폰 판매점에서 유행했던 적이 있습니다.
미쳤다라는 것은 부정적인 어감인데 왜 쓸까요? 그만큼 싸게 판매한다는 느낌을 강하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죠.
이것만큼은 절대 하지마세요!
라는 문구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죠.
우리는 이익보다는 손해에 더 민감하기 때문에 ~을 하면 좋을 때 보다, ~을 하면 안 좋을 때를 더 궁금해합니다.
이렇게 부정형의 말들은 굉장히 강하게 감정적으로 다가올 수 있기 때문에 시선이 확 갑니다. 세상에 좋은 일이 많지만 부정적인 뉴스기사가 훨씬 더 많이 나오는 이유와 같습니다.
종종 부정형의 제목을 써보세요.
사람들이 말도 안되게 크게 반응할지도 모릅니다.
부정형을 활용한 예시는 이렇습니다.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부정형 제목을 쓴다면 그거를 충분하게 커버할 정도의 양질의 콘텐츠를 담아야합니다. 말도 안되는 어그로형 제목이었다라는 느낌이 들게 되면 신뢰도가 확 깎이게 됩니다. 또한 너무 부정형의 제목으로만 도배해도, 콘텐츠 자체의 질보다는 클릭만 유도한다는 느낌이 들게 되니 적절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8. 신뢰가 확 가네요?
우리는 권위에 약합니다.
대학교, 대학원 같은 학위가 그렇게나 중요하게 느껴지는 것도 바로 다 이 권위 때문입니다.
미국에서 회사를 다니는 사람은 괜히 한국에서 다니는 사람보다 더 능력이 있어 보입니다. 대학교 연구 자료가 있다고 하면 신뢰를 안 하는게 훨씬 어렵습니다. 또 오랜시간 무언가를 했다고 하면 그 역시 설득이됩니다.
본인에게 이런 권위가 없다고요?괜찮습니다. 권위는 빌리면 됩니다.
어떻게 하면 되냐고요? 이렇게 하면 됩니다.
이런식으로 권위를 보여주세요.
사람들은 더 설득되고, 클릭을 하고 싶어질 겁니다.
(권위를 빌려온다면 출처는 꼭 남겨야합니다!)
이렇게 제목을 짓는 두번째 방법을 봤습니다.
5. 당신이 경험한 것은 무엇인가요?
6. 섞고, 비교하세요
7. 긍정보다는 부정
8. 신뢰가 확 가네요?
좋은 제목은 좋은 콘텐츠에게 반드시 필요한 존재입니다.
좋은 제목을 만드는 연습은 충분히해도 전혀 아깝지 않아요.
지난 콘텐츠와 함께 이 8가지 방법을 잘 활용해보세요.
여러분 모두 카피라이터의 자질이 충분하니까요! 
콘크리트에서는
가치 있는 콘텐츠를 만들고,
영향력 있는 브랜드를 만듭니다.
시작을 돕고,
변화를 만드는
달변가영쌤